반응형

물리 주소 & 논리 주소

물리주소란

'메모리 하드웨어가 사용하는 주소'

 

논리 주소란

'CPU가 실행 중인 프로그램이 사용 중인 주소'

 

실제로 CPU가 메모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물리 주소와 논리 주소를 변환해야 하는데

 

이때 쓰이는 하드웨어가

메모리 관련 장치

(MMU: Memory Management Unit)이다.

 

MMU는 CPU가 발생시킨 논리 주소에

베이스 레지스터 값을 더함으로

논리 주소를 물리 주소로 변환한다.

 

이때, 베이스 레지스터는

프로그램의 첫 물리 주소를 저장하고

 

이에 따라 논리 주소는

프로그램의 시작점으로 부터

떨어진 거리가 된다.

 

메모리 보호 기법

만약 위 사진에서 논리 주소가 257이고

베이스 레지스터가 512였다면

우리가 의도한 대로 작동할까?

 

결과적으로 메모리 주소가 769인

P3 영역에 접근하게 될 것이다.

 

베이스 레지스터가 512라는 것은

P2 영역에 접근하겠다는 의도였는데

P2를 벗어난 P3 영역에 접근하는 것은

의도된 바가 아닐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논리 주소의 최대 크기인

한계 레지스터를 지정한다.

 

CPU가 만약 한계 레지스터보다

높은 주소에 접근하려 하면

인터럽트를 발생해 실행을 중단한다.

 

반응형

'개인 학습 > 컴퓨터 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 - 하드 디스크  (0) 2023.02.02
20 - 캐시 메모리  (0) 2023.01.30
18 - RAM의 종류  (0) 2023.01.30
17 - CISC & RISC: CPU가 이해할 수 있는 명령어들  (0) 2023.01.29
16 - CPU 성능을 향상하는 방법 - 2  (0) 2023.01.28

+ Recent posts